첫눈치고는 너무나 엄청나게 많은 눈으로 인해
출퇴근시간에 전쟁을 치르는~~
117년만이라고....그래서 오늘은 블로킹 현상이란것에 대해 한번 알아보려 합니다..
저도 공부하면서 올리는 글이라 ...지적의 글 답글로 주셔도 되구요~~^^
수정사항 있으시면 댓글로 달아주시면 감사하갰습니다~~^^
이례적인 폭설은 지구촌 이상기상을 만드는 '블로킹' 현상 탓에 발생했습니다.
오늘 오후 3시, 서울에 쌓인 눈은 17.2cm.
11월 하루 적설량으로는 1907년 기상 관측을 시작한 이후 117년 만의 최대였습니다.
수도권에 '대설 경보'까지 내려졌는데, 대도시 서울의 대설 경보는 2010년 이후 14년 만이라고 합니다.
이달 중순까지 포근했던 날씨가 하순 들어 한파와 폭설로 극단을 치달은 겁니다.
이례적인 폭설은 지구촌 이상기상을 만드는 '블로킹' 현상 탓에 발생했습니다.
우리나라 북쪽을 지나던 저기압이 동쪽의 블로킹 고기압에 가로막히면서 한반도 5km 상공으로 영하 30도 이하의 찬 공기가 밀려왔습니다.
이 찬 공기가 예년보다 2도 정도 따뜻한 서해 위를 지나며 대기 불안정이 심해져 눈구름이 강하게 발달했는데, 세찬 서풍을 타고 내륙 깊숙이 들어와 수도권에 많은 눈을 뿌린 겁니다.
'블로킹' 현상은 악기상을 지속시키는 특징이 있는데, 밤사이에도 비슷한 폭설이 예보됐습니다.
또 내일 아침엔 대부분 지역의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면서 빙판길도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출처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8116989
지구촌 이상기상을 만드는 '블로킹' 현상이란?
블로킹(blocking)은 중위도 편서풍대에서 상층의 고·저기압이 정체하여 상층에서 동서바람(zonal wind)이 약화되고 남북바람(meridional wind)이 강화되는 현상을 말한다(기상학사전 1992, Glossary 2000).
일반적으로, 중위도 상층대기에서 고위도는 기압(고도)이(가) 낮고 저위도는 상대적으로 기압(고도)이(가) 높아 등압(고)선에 평행하게 편서풍이 분다(그림 1(a)).
그런데, 그림 1(b)와 같이 고위도에 기압이 높아지거나 저위도에 기압이 낮아지면, 서에서 동으로 이동하던 기류는 약화되고 남북류가 강화된다.
이와 함께 서에서 동으로 이동하는 기압계와 일기시스템은 정체하여 블로킹 영향권에 있는 지역은 길게는 2주일 이상 특정일기시스템의 영향을 받는다.
500hPa 고도장에 그림 1(b)와 같은 패턴이 5일 이상 지속될 때 블로킹 현상이라고 정의한다.
북반구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블로킹 현상은 대륙과 해양의 분포가 큰 역할을 한다.
대륙은 겨울철 빨리 냉각 되고, 여름철 빨리 가열된다.
반면, 해양은 대륙에 비해 계절에 따른 온도변화가 작다.
북반구의 해륙분포는 유라 시아 대륙을 기준으로 동쪽은 태평양, 서쪽은 대서양이 위치하고,
북아메리카 대륙을 기준으로 동쪽은 대서양, 서 쪽은 태평양이 위치한다.
따라서, 남·북의 에너지 차이뿐 만 아니라 계절에 따라(특히, 여름과 겨울)
동서의 에너 지 차이도 크게 나타나 블로킹 패턴이 발생하기에 좋은 조건이다.
겨울철 대륙은 냉각되고 상대적으로 해양은 따뜻한 상 태를 유지한다.
이로 인하여, 해양의 상층 대기에 고기압이 발달하기 좋은 조건이 갖춰지고
대륙은 저기압이 발달하기 좋은 조건이 된다.
우리나라 일기에 영향을 주는 태평양 북쪽과 알래스카에 나타나는 블로킹 현상은
겨울철 대표적인 상층 일기패턴이다.
여기에 북극진동(AO)으로 인하여 한랭한 상층 저기압이 남쪽으로 이동하거나,
ENSO로 인해 온난한 상층 고기압이 북쪽으로 이동하면, 블로킹의 강도가 강해질 수도 있다.
지금까지 여러 방면으로 블로킹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으나
블로킹 발생원인은 특정한 기후시스템과의 연결 관계보다 복합적인 시스템들과의 조화로 나타난다.
겨울철 대륙은 냉각되고 상대적으로 해양은 따뜻한 상 태를 유지한다. 이로 인하여, 해양의 상층 대기에 고기압이 발달하기 좋은 조건이 갖춰지고 대륙은 저기압이 발달하기 좋은 조건이 된다.
우리나라 일기에 영향을 주는 태평양 북쪽과 알래스카에 나타나는 블로킹 현상은 겨울철 대표적인 상층 일기패턴이다.
여기에 북극진동(AO)으로 인하여 한랭한 상층 저기압이 남쪽으로 이동하거나, ENSO로 인해 온난한 상층 고기압이 북쪽으로 이동하면, 블로킹의 강도가 강해질 수도 있다.
지금까지 여러 방면으로 블로킹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으나
블로킹 발생원인은 특정한 기후시스템과의 연결 관계보다 복합적인 시스템들과의 조화로 나타난다.
블로킹 패턴과 날씨
블로킹 패턴의 위치에 따른 날씨 특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