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이컵 재활용 가능한가요??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종이컵 재활용 가능한가요??

by 내가 머니 2025. 1. 13.
반응형

 

커피매장에서 테이크아웃하거나 아니면 매장에서도 이중으로 해서

종이컵에 커피를 주는 곳도 많이 있습니다.

전 일반 종이컵도 그렇고 커피숍 종이컵도 그렇고 한번 쓰고 버리기 너무 아깝더라구요

그래서 안쪽에 코팅은 되어 있지만 밖은 안되어 있으니까

되도록이면 재활용해서 환경에 조금이라도 보탬이 되고 싶은 마음에 

재활용이 안되나?? 항상 고민했는데요..

반응형

 

https://www.segye.com/newsView/20180117005118

 

종이컵 사용량은 점점 더 증가하는데 텀블러 사용하는 사람은 별로 없다네요,

 

그래서 한번 알아보았는데요...ㅠㅠ

 

‘최고급 펄프’ 종이 커피컵 재생지로 부활 / 플라스틱 컵·뚜껑은 극세사·키보드 원료로 / 쓰레기통 버려진 컵은 사실상 그대로 폐기 / 재활용률 제고 위해 ‘보증금 부활’ 목소리

https://www.segye.com/newsView/20180117005118

 

종이컵은 종이류와 함께 배출하면 안된다네요

종이컵의 코팅 : 플라스틱 성분(폴리에틸렌)이기 때문에 종이류는 안됩니다. 
코팅을 벗기기 위해서 화학물질을 통해 분리를 해야하는 과정이 있어, 재활용이 까다롭기 때문이랍니다. 

 

반응형

 

종이컵 종류 

 

1. 종이로만 되어있는 종이컵 : 정수기나 병원등에 있는 종이컵

 

 

2. 일회용 종이컵, 믹스커피컵, 테이크아웃커피컵

 

재활용: 가능

분류: 종이팩

 

-일회용 종이컵:  음료나 이물질이 묻어있지 않은 상태로 배출해야만 재활용이 가능합니다.

음료를 마신 후 종이컵 안쪽을 물로 깨끗이 헹궈낸 뒤 종이팩 으로 분리배출해주세요.

https://www.woowarhanclean.com/

 

- 카페에서 테이크아웃한 일회용 종이컵:  플라스틱 뚜껑 등은 분리해서 재질별로 분리배출하고

종이컵은 일회용 종이컵처럼 깨끗이 헹궈서 종이팩으로 분리배출해줍니다.

 

- 일회용 종이컵은 낱개로 배출하는 것보다 여러개를 한번에 모아서 배출할 경우 재활용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사용한 종이컵을 한곳에 모아두었다가 투명비닐 등에 넣어서 분리배출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종이와 종이팩은 다른 방식으로 재활용돼요. 반드시 종이가 아닌 종이팩 으로 분리 배출하고,

종이팩 전용 수거함이 없을 경우엔 종이컵만 따로 모아서(이물질이 없어야 해요) 배출해서

재활용 봉투에 배출하시면 재활용 분리수거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만약 종리류에 섞으실거면 그냥 종량제 봉투에 넣어서 버리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반응형

 

<종이팩> 종류별 버리는 방법​

 


 

우리나라에서 종이컵은 휴지로만 재활용된다네요.

두루마리 화장지가 대표적이고 공중화장실에서 주로 쓰는 페이퍼타월로도 만들어진다고 합니다.

그런데 바닐라라떼의 컵처럼 강렬한 원색의 컵은 재생지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요인이라고 합니다.

https://www.segye.com/newsView/20180117005118

 

반응형

▶ 일회용컵 보증금 제도

컵보증금제는 일회용컵에 50∼100원의 보증금을 붙여 음료를 판 뒤 다 쓴 컵을 매장에 가져오면 보증금을 돌려주는 제도를 말한다.

맥주·소주병에 대해 실시 중인 빈병 보증금 제도와 같은 개념이다.

1회용컵 보증금제의 효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 1회용컵의 투기를 막아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습니다.
  • 플라스틱 1회용컵이 바다로 유입되는 것을 상당부분 방지할 수 있습니다.
  • 자원순환 체계에 빠져있는 생분해성 1회용컵의 사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그런데......

2022년 6월에 시행 예정이었던 1회용컵 보증금제는 시행일이 유예되고, 시행지역이 축소되며 반쪽짜리 제도로 전락했다.

환경부는 관광지형으로 제주를, 오피스형으로 세종을 지정해 2022년 12월 2일부터 시행했다.

환경부는 그해 국정감사에서 1년간의 운영을 통해 전국 확대 시행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환경부는 2025년까지 전국 동시 시행 예정이던 일회용컵 보증금제를 지자체 자율에 맡기는 방향으로 전환하기로 했습니다. 이는 제주도와 세종시에서 시범사업을 진행한 결과, 지역별 상황에 맞게 유연한 적용이 필요하다는 판단 때문입니다. 

 

1회용컵이 제주와 세종에서만 발생하는 것도 아닌데 말입니다.

***환경단체https://www.greenkorea.org/activity/living-environment/zerowaste/102844/

반응형

 

텁블러 가지고 다니는 것을 생활해 보는건 어떨까요?~~~

저는 열심히 가지고 다니고 있습니다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