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채 : 퍼스널 컬러에 대해 알아보기 1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색채 : 퍼스널 컬러에 대해 알아보기 1

by 내가 머니 2024. 12. 10.
반응형

 

개요

'"퍼스널컬러"는 개인의 피부 톤, 눈동자 색, 머리카락 색 등을 기반으로

자신에게 가장 잘 어울리는 색을 찾아주는 개념입니다.

이를 통해 옷, 메이크업, 액세서리 등에서 자신에게 잘 맞는 색을 선택하여 더욱 돋보이고,

자연스러운 매력을 발산할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해서 사람의 얼굴에 가장 어울리는 색상을 찾는 미용 이론이다.

 

넓은 의미에서는 색채학과 무관하게 어울리는 색상을 말할 수 있지만 

여기서는 PCCS를 기반으로 한 "좁은 의미의 퍼스널 컬러"를 다룬다.

 

 

 

피부톤에 어울리는 색을~~~

웜톤, 쿨톤이나 봄, 여름, 가을, 겨울로 나누어 부르는 것이 바로 이 퍼스널 컬러를 기반으로 한 것이다.

기본적으로 완전히 자연스럽다 할 수 있는 온전한 민낯에 어떤 색의 옷이 어울리는지를 판단하며,

그 결과에 따라 어울리는 색조 화장품이나 장신구를 찾는 데에도 활용이 가능하다.

보통 퍼스널 컬러로 안색에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치는 것은

화장품이 아니라 면적이 넓고 얼굴과 가까이 있는 상의 색깔이다.

진단을 받을 때 괜히 드레이프 천을 대보는 것이 아니다.

해당 퍼스널 컬러에서는 어울림을 판단할 때,

그 사람이 원하는 이미지 또는 표현하고 싶은 주제로 판단하지는 않는다.

그런 기준이라면 퍼스널 컬러는 언제든 바뀔 수 있고, 미용의 개념과도 멀어진다.

따라서 어떤 색에서 본인이 가진 고유한 피부가 건강해보이고,

그에 따라 이목구비의 입체감이 자연스럽게 살아나는지가 기준이 된다.

 

달리말하면 (비록 순간에는 하얗게 보일지라도 보면 볼수록) 얼굴에 잿빛이 도는 것이 보이는 색이나, 

얼굴에 얼룩덜룩한 홍조 및 그림자가 드리우는 색, 

요철이 도드라지는 색, 

얼굴의 주목도를 빼앗아가서 얼굴을 뒤로 후퇴하는 것처럼 보이도록 하는 색등을 

얼굴 주변으로부터 멀리하고,

건강해보이는 색을 얼굴 가까이에 두어 더 아름답게 보이게 하는 이론이 퍼스널 컬러라는 것이다.

KS색체계, 120색 톤

 

반응형

 

2024.11.17 - [분류 전체보기] - 이미지나 PDF 파일을 문자로 바꾸고 싶을 때!

2024.12.03 - [분류 전체보기] - 크리스마스기 생기게 된 이유를 아시나요?

역사

퍼스널 컬러는 20세기 초 스위스화가이자 독일 바우하우스의 교수였던 요하네스 이텐이 발견했습니다.

사실 퍼스널 컬러는 초상화를 잘 그리기 위한 기술이었죠.

요하네스 이텐은 특정 피부·머리카락 색과 결합하여 특정 색들을 사용했을 때

초상화가 훨씬 잘 표현된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퍼스널 컬러의 역사는 다음과 같은 주요 단계를 거쳐 발전해왔습니다:

1940년대~1950년대:

색상 분석의 기초 형성 퍼스널 컬러의 개념은 1940년대 후반과 1950년대 초에 등장했습니다.

이 시기에 색채학자인 로리 도날드프랑스의 미셸 체이킹이 "색과 계절"이라는 아이디어를 결합하여,

사람의 피부 톤에 맞는 색을 선택해야 한다는 개념을 제시했습니다.

이를 통해 계절에 따라 사람들이 잘 어울리는 색을 분류하는 방법이 개발되었습니다.

1980년대: 퍼스널 컬러 분석의 확립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퍼스널 컬러 분석은 더 체계화되었습니다.

카롤린 해러웨이는 개인의 색을 "봄", "여름", "가을", "겨울"의 4개 계절로 나누어 분석하는 방법을 정립하였습니다.

이 이론은 각 계절이 특정한 색조의 특성을 지닌다고 보고, 사람을 그 계절에 맞는 색군에 분류하는 방식입니다.

퍼스널컬러는 일반적으로 4가지 계절 타입으로 구분됩니다:

  1. 봄(SPRING): 따뜻하고 밝은 색들이 잘 어울리며, 주로 따뜻한 느낌의 색감이 특징입니다. (예: 코랄, 피치, 연두 등)
  2. 여름(SUMMER): 차가운 느낌의 부드러운 색들이 어울립니다. (예: 파스텔 톤, 라벤더, 연한 핑크 등)
  3. 가을(AUTUMN): 따뜻하고 깊은 색조가 어울리며, 자연적이고 진한 색들이 특징입니다. (예: 브라운, 머스타드, 올리브 등)
  4. 겨울(WINTER): 선명하고 차가운 색들이 어울리며, 고유한 대비가 강한 색이 특징입니다. (예: 블랙, 화이트, 차가운 파랑 등)

 

 

 

 

2000년대 이후: 퍼스널 컬러의 대중화   

2000년대에 접어들며 퍼스널 컬러는 더욱 대중화되었고,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퍼스널 컬러를 찾기 위해 전문가의 도움을 받거나 책, 온라인 자료 등을 통해 정보를 얻기 시작했습니다.

패션, 메이크업, 이미지 메이킹 등의 분야에서 퍼스널 컬러를 활용하는 것이 널리 퍼졌습니다.

 

최근의 발전: 12계절 분석 및 세분화

최근에는 4계절 분류 외에도 12계절 색상 분석 방법이 등장하여, 색상의 세분화가 더 정확하고 개별적인 특성에 맞게 발전했습니다.

또한, 사람들의 개성과 스타일에 맞춘 퍼스널 컬러 상담 서비스가 인기를 끌며, 사람들의 취향과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맞춤형 조언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발전 과정을 통해 퍼스널 컬러는 단순한 색상 이론을 넘어,

개인의 아름다움을 강조하고 자신감을 높이는 중요한 도구로 자리잡게 되었습니다.

 

퍼스널컬러 분석은 전문 컬러 분석가에게 받을 수 있지만, 온라인 테스트나 셀프 테스트로도 대략적인 결과를 알 수 있습니다.

자신의 색을 알고 나면 옷을 고를 때 자신감을 가질 수 있고,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을 강조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