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리면 너무 힘들어 식은땀까지 줄줄 흘리는 변비!
변비에 대한 정리요약
👉 같이보면 좋은 글 🚀
2025.02.03 - [분류 전체보기] - 배에 가스가 자꾸 차서 불편한 이유
변비 [정의]
의학적으로 변비는 ??
배변 횟수의 감소(주 3회 미만), 단단한 변, 불완전한 배변감,
배변할 때 과도한 힘주기, 항문 폐쇄감, 배변을 유도하기 위하여 수지조작이 필요한 경우 등으로 정의합니다.
증상은 ?? 최소 진단 6개월 전부터 시작되고 지난 3개월 동안 존재해야 합니다.
또한 복통이나 더부룩함(bloating)이 있더라도 주 증상이 아니어야 하며,
과민장증후군 진단에 부합하지 않아야 합니다.
변비는 ? 전 인구의 5~20%가 증상을 호소할 만큼 매우 흔한 증상이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그 빈도가 증가하고 남자보다는 여자에게 흔하게 발생합니다.
변비 [원인]
대장은 ?기다란 관 모양으로 위치에 따라 맹장, 상행결장, 횡행결장, 하행결장, S-자결장(구불 결장), 직장으로 나눌 수 있으며 총 길이는 1.5 m 입니다.
대장의 내용물은 ?대부분 음식물 찌꺼기와 수분, 전해질, 세균 그리고 가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대장은 이 중 수분과 전해질을 흡수하고, 배변과 배변 사이에 장 내용물을 저장하였다가 항문 밖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직장과 연결된 항문 역시 배변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항문관의 길이는 약 3~4 cm이며, 주변에 내항문괄약근, 외항문괄약근, 항문거근 등 배변과 관련한 근육이 많이 분포해 있습니다.
1. 전신질환에 의한 변비: 갑상선 기능 저하증, 당뇨병
2. 중추신경 질환이나 장을 지배하는 신경의 이상에 의한 변비: 치매, 파킨슨병,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척추의 외상
3. 대장, 직장, 항문, 골반저의 기질적인 병변에 의한 변비: 유아의 항문폐쇄증, 항문협착증, 대장암, 평활근의 병변(근병증, 근이영양증 등), 직장류(rectocele), 골반저의 약화, 직장 내 점막의 탈출(intrarectal mucosal prolapse), 전직장벽의 탈출(full-thickness rectal prolapse),
고립성 직장궤양 증후군(solitary rectal ulcer syndrome)
4. 변비를 일으키는 약제들: 아편성분 진통제, 항경련제, 삼환계 항우울제 등
5. 변비를 일으키거나 조장시키는 정신적 질환들: 우울증, 거식증 또는 대식증,
변비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식이 요인
- 식이섬유 부족: 섬유질은 장운동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는데, 채소, 과일, 통곡물을 적게 섭취하면 변이 딱딱해지고 배변이 어려워집니다.
- 수분 부족: 물을 충분히 마시지 않으면 변이 건조하고 단단해져 배출이 어려워집니다.
- 불균형한 식습관: 패스트푸드, 기름진 음식, 정제 탄수화물(흰쌀, 흰 밀가루 등)을 과다 섭취하면 장 운동이 둔화됩니다.
2. 생활 습관 요인
- 운동 부족: 신체 활동이 적으면 장운동이 느려져 변비가 생길 수 있습니다.
- 배변 습관 문제: 배변 신호를 무시하거나 억제하면 변이 장에 오래 머물러 딱딱해집니다.
- 스트레스 및 불규칙한 생활: 긴장과 스트레스는 장 기능을 저하시켜 변비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3. 건강 및 의학적 요인
- 장 질환: 과민성 대장 증후군(IBS), 대장 협착, 장폐색 등이 변비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호르몬 변화: 임신, 갑상선 기능 저하증, 당뇨 등의 호르몬 변화가 장운동을 둔화시킬 수 있습니다.
- 약물 부작용: 철분제, 진통제(특히 마약성 진통제), 일부 항우울제, 항고혈압제 등이 변비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4. 노화
- 나이가 들면 장운동이 감소하고 근력이 약해져 변비가 생길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변비 증상
변비는 단순히 배변이 힘든 상태를 넘어 다양한 증상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 주요 증상
- 배변 횟수가 주 3회 이하
- 변이 단단하고 덩어리 형태
- 배변 시 과도한 힘을 줘야 함
- 배변 후에도 잔변감이 남음
- 배가 팽창되거나 더부룩함
- 심한 경우 항문 통증이나 치질 동반
💊 변비 치료 요법
변비를 치료하는 방법은 생활습관 개선, 식습관 조절, 약물 치료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생활습관 개선
✔️ 배변 습관 형성 → 매일 일정한 시간에 화장실 가기
✔️ 운동 → 걷기, 요가, 복부 마사지로 장운동 촉진
✔️ 스트레스 관리 → 긴장하면 장운동이 둔화될 수 있음
2️⃣ 식이요법 (자연 치료법)
🥦 식이섬유 섭취 증가 → 채소, 과일, 통곡물, 견과류
💧 충분한 수분 섭취 → 하루 1.5~2L 이상 물 마시기
🧑⚕️ 유산균 섭취 → 김치, 요거트, 프로바이오틱스
3️⃣ 약물 치료 (심한 경우)
🚑 증상이 심하면 의사와 상담 후 변비약(완하제)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팽창성 하제 (차전자피 등)
✔️ 삼투압성 하제 (락툴로오스, 마그네슘제)
✔️ 자극성 하제 (비사코딜 등, 장기 사용 주의!)
🚀 변비 예방 방법 (미리 방지하는 습관!)
✅ 매일 식이섬유 25~30g 섭취 (채소, 과일, 잡곡, 통곡물, 견과류 )
✅ 충분한 수분 섭취 , 하루 1.5~2L 이상 물 마시기
✅ 운동 습관 만들기 (하루 30분 이상 걷기)
✅ 배변 신호를 무시하지 않기
✅ 배변 습관 개선 (매일 일정한 시간에 화장실 가기)
✅ 유산균·발효식품 섭취 (장내 유익균 증가)
✅ 스트레스 줄이기(관리) (명상, 심호흡 등)
변비는 생활습관 개선으로 충분히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습니다!
변비가 지속되거나 심한 경우에는 의사의 상담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