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프린팅 첫걸음66 3D Printing Process 3D프린팅을 위해서는 디자인과 기획단계가 가장 먼저입니다. 제가 어쩌다 이것을 후반부에 올리게 되어 버렸네요 그래도 참고하여 보시면 좋겠습니다. 출처 : 김천환, 실전 3D프린팅 활요가이드, 비제이리퍼블릭 ▶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3D로 모델을 생성하는 것이다. ▶ 기계 설계, 시제품 제작, 엔지니어링, 건축 디자인, 캐릭터 등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되고 성장하고 있다. ▶ 모델링 : 가상공간상에서 실물과 같은 현실성을 표현하기 위해 시각적인 형상을 구성해 나가는 과정. ▶ 3D 모델 데이터는 절삭가공기계인 CNC, 신속 조형 기계인 RP에 의해 실물 가공된다. 1.1 CAD 소프트웨어(직접 모델링) ▶ 3D 프린터로 원하는 출력물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3차원 모델링 데이터가 필요하.. 2020. 8. 12. 3D 프린팅을 위한 SOFT WARE 기술 3.3.1 소프트웨어의 종류 1. 3D 프린팅 소프트웨어 ① 3D모델을 생성 : 캐드(Computer Aided Design, CAD)소프트웨어 ② 3D 프린팅 : CAM 소프트웨어인 슬라이싱 소프트웨어로 구분한다. 출처 : cafe.naver.com/xpkorea 오토데스크社 : 건축, 조경, 토목, 전기, 전자 등 대부분의 분야에서 90% 이상을 점유하고 있어 캐드(CAD)를 오토캐드(AutoCAD)로 인식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소프트웨어 오토캐드(AutoCAD) 제도 및 도면 제작을 위한 소프트웨어 사용자 편의성이 뛰어남여러 분야의 산업에 적합한 설계 업무 등, 최고의 사용률을 확보 프로토타이핑 인벤터(Inventor) 기계 설계 퓨전360(Fusion360) 공동 협업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 2020. 8. 9. 3D PRINTER MATERIAL 8(3D프린터 재료8) ⑨ 모래(Sand) •분말 형태의 모래를 소재로 사용하는 방식 •모래를 녹여 제품을 만드는 방법이 대표적이다. •전통적인 주조방식: 고체 금속을 가열하여 액체 상태로 만든 다음 주형에 주입하여 응고시키는 방식이다. •3D 프린팅 사형(모래주형)은 개발~ 제조⇒ 공정 시간을 단축 •시제품 개발 비용을 절감 •내부 공간이나 복잡한 구조의 제작이 가능, •디자인이나 설계 변경에 대해 쉽게 대응 •시행착오 과정에서 발행하는 소요비용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고, 보다 쉬운 주물제작이 가능해 졌다. •몰드 작업용 : 프로토타입 ⑩ TPU / Flexbil TPU소재 이용 PLA소재와 PLEXBIL소재 듀얼프린팅 영상 ⑪ 다중소재 •질감 표현 가능 •기계적 특성 표현 •소재 혼용 가능 오늘로 소재는 마치도록 하겠습니.. 2020. 8. 7. 3D PRINTER MATERIAL 7(3D프린터 재료 7) ⑤ 신축(Flexible) 필라멘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 탄성중합체) 원료의 고무 소재로 탄성과 유연성이 매우 뛰어나다. •출력 속도가 빠를 경우 실패할 확률이 높고 서포터를 제거하기가 어렵다. •녹는 온도 : 210~225℃ 정도 •프린트 속도 : 30mm/s이다. •베드 판의 온도 : 20~50℃ 정도가 적당하다. 출처 : cafe.naver.com/xpkorea ⑥ 유리(Glass) • 엑스원(ExOne)社의 ‘프로메탈(ProMetal)’은 100% 재사용이 가능한 ‘소다 석회유리(soda-lime glass)’ 유리 재료로 조형물을 만들거나 섭씨 1000도 이상으로 가열한 후 알루미나 지르콘 실리카(alumina-zircon-silica) 노즐을 사용해 적층 방식으로 제작할 수.. 2020. 8. 4. 3D PRINTER MATERIAL 6(3D프린터 재료 6) POWDER(분말) ▶석고분말 - 약한 강도 : 접착제 사용 - 컬러 구현 출처 : cafe.naver.com/xpkorea 출처 : cafe.naver.com/xpkorea 츌처 https://cafe.naver.com/xpkorea 3.2.5 응용 소재 ① 청동(Bronze/Still fill) ▶PLA소재나 PHA소재에 청동 파우더 입자를 혼합한 소재로 연마할 경우 청동 느낌의 출력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녹는 온도 : 195~220℃ 권장, 소재가 압출될 때 부피의 수축이 적으므로 PLA소재 대비 프린트 속도를 높여서 출력하면 된다. ▶입자가 큰 그릿(Grit)20으로 200~300회 이상 연마하고 부드러운 입자로 다시 500~600회 이상 연마를 한다. ▶마지막으로 부드러운 천으로 표면을 닦아.. 2020. 8. 3. 3D PRINTER MATERIAL 5(3D프린터 재료 5) METAL 금속소재 출처 : cafe.naver.com/xpkorea ① 티타늄(Titanium) ◇ 티타늄 파우더는 레이저로 소결되어 기계가공 모델에 뒤지지 않는 최종 소비단계 금속 물체들을 만들어 낸다. ◇ 연마하지 않은 3D 프린트 티타늄은 다소 회색 빛을 띠며 무광의 거친 표면을 가진다. ◇ 티타늄 파우더는 소결을 통해 고체화 과정을 거침 ⇒ 이 공정들은 레이저 빔에 의해 이루어져 티타늄 모델들은 강도가 매우 높다. ◇ 티타늄은 인체 자극이 적으며(인체무해) 생체적합성을 뛰어나 알러지에 대한 우려가 거의 없다. ◇ 티타늄은 고급 소재이며, 고급 쥬얼리와 시계 등에 이미 사용되고 있다. ⇒ 지지물들에 의해 출력 모델에 흔적이 남을 수 있다. 출처 : cafe.naver.com/xpkorea ② 스테.. 2020. 8. 2. 이전 1 ··· 3 4 5 6 7 8 9 ···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