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한국 복식의 원류 1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고대 한국 복식의 원류 1

by 내가 머니 2025. 1. 4.
반응형

복식

복식은 사람의 몸에 치장하는 의류와 장식을 모두 가리키는 의생활용어이다. 복(服)은 주로 몸통과 팔다리를 감싸는 의복을 말하고 식(飾)은 모자나 관, 신이나 허리띠 등 여러 가지 장식을 뜻합니다.

 

 

 

반응형

2024.12.28 - [분류 전체보기] - 한국의 전통 색채

 

 

한국의 전통 색채

이번에는 우리나라의 전통 색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여러분들은 음양오행사상에서 나오는 오방색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는 것을 아시나요?   우리나라의 전통 복색도 음양 오행 사상에서

jhj60718442.tistory.com

 

2024.12.26 - [분류 전체보기] - 우리나라 화장(化粧)의 역사

 

복식의 발달 및 변천

복식의 발달과 변천은 그 시대의 생활양식의 자연적 조건과 사회적 조건에 의하여 영향 받게 되는 것이므로 같은 자연적 조건을 가진 나라라도 시대에 따라 사회적 조건이 다르면 그것에 의하여 생활양식이 변하고 따라서 복식도 변하게 된다. 자연적 조건으로는 기후 · 풍토적인 요인이 있고, 사회적 조건으로는 종교 · 예술 · 정치 · 경제 · 사상 · 철학 등의 광범위한 문화적 요인이 있다.

자연환경의 영향

어느 일정지역에 있어서 한서건습(寒暑乾濕)의 기후특성, 수륙고저(水陸高低) 등의 지리적 특징에 따라서 복식의 지역적 종별(種別)이 생겨서 각 지방이나 민족마다 고유한 지역복이 생기게 된다.

 

** 언제부터 옷을 입게 되어서 어떻게 변천되며 오늘에 이르게 되었는지 고대 우리의 복식의 원류부터 알아볼까 합니다.

고칠부분이 있다거나 제가 오류를 범하는 경우 글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반응형

 


 

 

 

복식이란??

 ‘인체 위에 표현되는 모든 의류와 장식의 총칭’을 일컫는다.

 (:옷복)’: 주로 몸통과 팔다리를 감싸주는 의복을 의미,

 (:꾸밀식)’: 모자나 관, 신발, 허리띠 등 여러 가지 장식을 의미한다.

 

의복의 착용 의복 착용의 기원은 정확하지 않음
신석기 시대 - 주로 피의(皮衣 : 가죽옷)입었으리라 추측
선사시대에 의복과 관련된 유구가 보임(유구: 인간활동에 의해서 만들어진 것)
그 증거 - 신석기 시대 유적에서 마사(麻絲)가 붙은 골침비롯, 각종 동물뼈로 만든 대, 소형 골침들이 출토

크로마뇽인(호모사피엔스)이 발명한 바늘귀가 있는 바늘인류역사상 가장 혁신적인 발명품이었다.

 

반응형

 

1. 한국 복식의 원류를 찾아서

옷치레와 몸치레 :

복식은  자연환경과 사회환경에 따른 생활양식의 표현, 특히 고대일수록 기후와 풍토문화, 생활양식 등에 직접적으로 적용되어 발생한다.

   유목을 생산수단모피,  양모

   농경을 생산수단 면으로 된 의복          

 

한국민족문화가 형성되는 과정

〮 인종적 뿌리 : 북방계 몽고인종(동이족)

〮 언          : 알타이어계,

〮 문          : 북방계, 유목민족문화

〮 생          : 추운 지역인 북방의 기마수렵생활

(부여계 고구려인-호전적기질이 농후, 기마민족 면모를 갖춤)

〮 복        : 바지, 저고리가 고유복식(중국에선 이를 호복’)

   

 

마지막 빙하기 이후 시베리아에서 형성된 원 몽골리안이 남으로 내려와 이미 살고있던 남방계 사람들과 혼혈되며

새로운 문화를 만들었고, 그 처음이 홍산문화로 나타난다.

한반도와 일본 열도로 이동해 간 사람들은 그 문화와 언어의 원형을 유지하였으나,

중국으로 이동해 간 사람들은 남방계의 영향을 받아 성조언어를 사용함으로써 다른 문화를 발달시켰다.

 

반응형

 

상대조선 복식의 구조 :

① 풍토, 민족성, 생활양식에 적응하여 나타나는 복식의 특성

② 남방계열이 아닌 북방 알타이어계열의 좁은 소매의 저고리인 착수의와 홀태바지(통이 매우 좁은 바지)이고

밑 막힌 궁고를 입었음을 알 수 있다.

 

고구려 고분벽화

여자도 바지를 착용북방계 호복

중국의 상의하상식 구조와  다른 바지 입는 북방계 복식임이 확실

(상의하상식:상의하상(치마)이 허리에서 붙은 옷)

 

 

착수의, 궁고같은 부류의 복식을 북방계 호복(胡服. 오랑캐) (중국: 왕국유)이라 한정

북방계 복식의 분포

유라시아→ 한국→일본에 이르는 지역,

즉 서아시아, 남아시아, 몽고, 티베트,한국,일본에 이르기까지 매우 광범위하다.

공통된 특성 : 기마, 유목문화.  색채가 다양, 재단이 단순한 점도 비슷.

 

 

반응형

 

▶북방계 복식의 유물들

① 노인 율라 유물(B.C.100~A.D. 100) 남자용 바지와 상의 출토  →바지 두 종류: 가랑이 연결, 분리된 것.

 

신장 합장물 유물(A.D. 25 ~A.D. 100)

→ 남자상의: 무릎 닿을 정도인 전개형,

여자 옷 : 원피스형의 겉옷상의  받침옷 상의, 치마

 

스키타이 인물상 (B. C. 400)

→ 좌 : 남녀 모두 같은 상의, 무릎길이에 통수 전개형 좌임

: 발목 길이의 헐렁한 외투,

상의하고(上衣) 위에  방한복을 덧입은 차림인 듯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