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썩음(brain rot)'은 2024년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가 선정한 올해의 단어로, 온라인 콘텐츠 과소비로 인한 정신적·지적 상태 악화를 비판하기 위해 선정되었습니다.
2025.01.15 - [분류 전체보기] - 생성형 AI, Chat GPT ....
2025.01.15 - [분류 전체보기] - Chat GPT 등장!! 과제에 사용?
뇌썩음(brain rot)
사소하거나, 하찮게 여겨지는 자료의 과잉 소비 결과 한 인간의 정신적, 지적인 상태가 퇴보한다는 의미를 지니며 저품질 온라인 콘텐츠를 과도하게 소비하며 정신적, 지적 상태가 저하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뇌 썩음'이 선정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유튜브 쇼츠, 인스타그램 릴스 등 짧고 자극적인 콘텐츠를 과도하게 소비하는 경향이 있다.
▲ 콘텐츠를 과도하게 소비하면 지적 능력이 퇴화하고 정신적 상태가 악화될 수 있다.
▲ 저품질 온라인 콘텐츠를 과도하게 소비하는 것에 대한 우려를 표현하기 위해 선정되었습니다.
▲ 짧고 자극적인 콘텐츠를 과도하게 소비함으로써 지적 능력이 퇴화하는 현상을 비판하기 위해 선정되었습니다.
▲ 인스타그램 릴스나 유튜브 쇼츠 등 자극적인 저품질 디지털 콘텐츠로 인해 현대인이 느끼는 정보 과잉,
피로감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기 위해 선정되었습니다.
▲ 소셜 미디어 채널을 통해 '뇌 썩음'을 일으키고, 표현하는 현상을 반영하기 위함입니다.
▲ 젊은 세대가 물려받은 소셜미디어의 해로운 영향을 반영하기 위함입니다.
숏폼에 중독되지 않도록 해야겠어요~~~
아래 글은 포춘 코리아에 나온 내용 중 발췌한 것 입니다
출처 : 포춘코리아 디지털 뉴스(https://www.fortunekorea.co.kr)
‘뇌 썩음’은 특히 디지털 콘텐츠의 주요 제작자이자 소비자인 Z세대와 알파 세대 등 젊은 층 사이에서 화제다.
옥스퍼드 언어(Oxford Languages)의 대표인 캐스퍼 그래스월은 이 용어가 기술, 콘텐츠 소비, 정신 건강 간의 복잡한 관계를 요약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디지털 환경에서 우리가 여가 시간을 어떻게 보내는지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만드는 단어"라며 ‘뇌 썩음’이 올해를 상징하는 중요한 문화적 지표로 자리 잡았다고 강조했다.
‘뇌 썩음’이란 표현은 꽤 오래전부터 쓰였다. 이 단어는 1854년 헨리 데이비드 소로의 고전 ‘월든(Walden)’에서 처음 등장했다. 당시 소로는 과도한 자극과 불필요한 정보의 범람이 정신적 피폐함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는 오늘날 디지털 시대에 이르러 끝없이 이어지는 스크롤링과 온라인 플랫폼의 중독성이 주목받으며 다시금 회자되고 있다.
‘뇌 썩음’을 묘사하는 영화에서의 장면
∇ ‘블랙 미러: 밴더스내치’ (2018) : 선택지와 정보 과잉 속에서 현실과 가상의 경계가 흐려지는 주인공을 연출.
∇ ‘레디 플레이어 원’ (2018) : 가상 세계 몰입으로 황폐화된 현실을 묘사,
∇ ‘이디오크러시’ (2006) : 저급 콘텐츠로 인간의 지능이 극단적으로 퇴화하는 미래사회를 풍자.
∇ ‘월-E’ (2008) : 디지털 의존으로 무기력해진 인간들을 그림,
∇ 소셜 딜레마’ (2020) : 알고리즘이 무의미한 콘텐츠 소비를 유도하는 현실을 다룸.
‘뇌 썩음’ 외에 올해의 단어 후보로 올라온 용어
▶겸손하거나 절제된 태도나 외모를 표현하는 ’드뮤어(Demure)’,
▶ 수요 변화에 따라 제품이나 서비스 가격이 변화하는 ‘다나믹 프라이싱(Dynamic pricing)’,
▶ 특정 인물이나 주제에 대한 배경지식 또는 이야기를 담은 정보를 의미하는 ‘로어(Lore)’
▶ 로맨스와 판타지 요소를 결합한 장르인 ‘로맨타시(Romantasy)’,
▶ 인공지능이 생성한 낮은 품질의 콘텐츠를 뜻하는 ‘슬롭(Slop)’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