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은 짜장면을 왜 좋아할까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사람들은 짜장면을 왜 좋아할까

by 내가 머니 2025. 2. 27.
반응형

반응형

▣ 사람들은  짜장면을 왜 좋아할까?

2025.02.26 - [분류 전체보기] - 걸리면 너무 힘들어 식은땀까지 줄줄 흘리는 변비!

2025.02.03 - [분류 전체보기] - 배에 가스가 자꾸 차서 불편한 이유

반응형

1. 정의

춘장에 물과 전분을 섞고 고기와 채소 따위를 넣어 볶아 만든 양념을 국수에 비벼 먹는 한국식 중국요리.

 

1-1. 짜장면의 유래와 역사

짜장면은 중국 음식이지만, 한국식 중화요리로 발전한 음식입니다.

기원: 1905년 인천 차이나타운에서 '공화춘'이라는 중국집에서 처음 만들어졌습니다.
초기 형태: 원래는 중국 산둥 지방의 ‘자장몐(炸酱面, Zhajiangmian)’에서 유래했지만,

한국에서 변형되면서 지금의 짜장면이 탄생했습니다.. 

한국식 변형: 한국에서는 카라멜을 넣어 단맛을 강조하고, 걸쭉한 소스로 만들면서 현재의 모습이 되었습니다.

 

반응형

《장을 볶아서 면 위에 얹어 먹는 자장몐(작장면炸醬麺)이 짜장면의 원조격인 요리라 할 수 있다.

짜장면의 ‘작장炸醬’은 장을 볶았다는 뜻이다.

여기서 장은 첨면장甜面酱을 의미한다.

여기에 면에 비벼 먹는 것이 짜장면이다.

1948년 화교 왕송산王松山이 첨면장甜面酱에 캐러멜을 섞어 달콤하고 부드러운 맛이 나는,

지금 우리가 먹는 것과 비슷한 맛을 내는 한국식 춘장을 만들었다.

 

중국 산둥성에서는 찐 콩에 밀로 만든 누룩 소금을 섞어 항아리나 나무통 안에 넣고

오랫동안 발효, 숙성시킨, 진한 갈색의 전통 장 醬을 만들어 먹는다.

그런데 산둥성 사람들은 이 장에 대파를 주로 찍어 먹었고,

파(총葱)를 찍어 먹는 장이라 해서 ‘충장葱醬’이라고 불렀다.

그런데 ‘충장’이 ‘춘장’으로 발음이 변형된 것이다.》

반응형
▲ 2012년 8월에 방영된 KBS1의 <소비자고발> 화면 캡처. 캐러멜색소 없는 우리 가게 춘장과 캐러멜색소가 들어간 춘장 비교 사진 ⓒ 류외향 중식당에서 나오는 춘장(오른쪽)

《 면의 주재료는 밀가루이다.

1950년대부터 식량난 해결을 위해 미국으로부터 많은 양의 밀가루를 원조받았고,

1970년대 혼분식장려운동으로 짜장면의 주재료인 밀가루 가격이 떨어지면서

짜장면이 국민음식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짜장면을 만들려면 먼저 밀가루 반죽에서 면을 뽑아 삶아야 한다.

그리고 춘장을 돼지고기 양파 등과 함께 센 불에 볶아서 면에 얹어낸다.》

 

《짜장면은 한국인이 좋아하는 외식 메뉴 중 하나이다.

짜장면이 지금과 같은 인기를 얻게 된 데는 여러 이유가 있다.

첫번째 :  된장·고추장 등 ‘장 문화’에 익숙한 한국인들은 춘장에 별다른 거부감이 없었던 것

중국 내에서도 짜장면이 성행하는 지역은 장 문화가 발달한 곳이다.

초기의 짜장면은 춘장을 기름에 튀겨서 그대로 면에 얹었기 때문에 그 맛이 느끼하여 한국인 입맛에는 좀처럼 맞지 않았다.

그래서 기름을 따라 버리고 볶은 춘장만 사용해서 느끼한 맛을 줄이고,

거기에 갖은 채소와 물녹말을 넣어 짜지 않으면서 구수하고 달짝지근하면서도 걸쭉한 짜장 소스로 현지화된 것이다.

반응형

두번째 : 배달문화와도 관련이 깊은 짜장면 수요의 증가

짜장면을 얘기하면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철가방’이다.

배달문화가 급속하게 발전하게 된 이유에는

1980년대부터 일반전화가 널리 보급되고 1999년부터 이동전화가 빠르게 확산되면서

집과 사무실, 심지어 야외에서도 음식 배달이 가능해진 덕이 크다.

굳이 중국음식점을 직접 가지 않더라도

간편하게 짜장면을 배달시켜 먹을 수 있게 된 것이 짜장면 소비 증가에 큰 영향을 미친 셈이다.》

https://folkency.nfm.go.kr/multimedia/photo/75541/8058

https://www.khan.co.kr/article/202304111346001

반응형

1-2. 짜장면의 시초 

  • 짜장면의 시초는 1883년  1883년 인천항이 개항을 하면서 많은 외국인이 들어왔고 
  • 중국 산둥지방 출신의 노동자 쿨리가 인천항과 부두에서 짐꾼, 인력거꾼으로 일하면서
  • 고향에서 먹던 춘장에 수타면을 비벼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작장면'을 먹은 것이라고 합니다
  • 1890년대 인천항에서 중국 산둥 지방의 노동자들이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짜장면을 먹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 1960·70년대 짜장면은 입학식, 졸업식에 빠질 수 없는 단골메뉴였습니다.
 
반응형

2. 사람들이 짜장면을 좋아하는 이유

짜장면은 한국인이 좋아하는 외식 메뉴 중 하나로,

된장·고추장 등 '장 문화'에 익숙한 한국인들의 특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또한, 배달이 간편하고 저렴한 가격에 에너지를 채울 수 있는 음식이라는 점도

짜장면의 인기를 이끌고 있습니다. 

반응형

 

한국 사람들이 짜장면을 좋아하는 이유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첫째, 짜장면은 간단하고 맛있는 중국 요리로, 다양한 한국인의 입맛에 잘 맞는 맛이에요.

둘째, 짜장면은 저렴하고 어디서나 쉽게 찾을 수 있어서 많이 먹게 되는 것 같아요.

셋째, 짜장면의 단맛과 짭짤한 맛이 한국인의 입맛과 잘 어울려서 좋아하는 경우가 많답니다.

                                        ↓  ↓  ↓  ↓  ↓  ↓ 

  • 된장·고추장 등 '장 문화'에 익숙한 한국인들은 춘장에 별다른 거부감이 없었다.
  • 중국 내에서도 짜장면이 성행하는 지역은 장 문화가 발달한 곳이다.
  • 배달이 간편하며 저렴한 가격에 에너지를 채울 수 있는 음식으로 짜장면이 제격이었다.
  • 예전에는 배달 가능한 음식이 한정되어 있었는데요. 그 중 배달 시스템이 가장 잘 갖춰져있고,
  • 빠르게 배달 되는 곳은 중식집이 유일했다.
  • 1948년 짠맛이 강한 중국식 춘장 대신에 캐러멜을 넣어 우리 입맛에 맞는
  • 사자표 춘장이 나오면서 최초로 짜장면이 탄생했습니다.
  • 이후 1950년대 한국전쟁 후 미국에서 밀가루 원조가 대량으로 들어오고
  • 60·70년대 정부의 혼식, 분식 정책에 의해 짜장면은 최고의 인기를 누리게 되었습니다.
반응형

2-1. 특징 및 의의

▶짜장면은 장에 국수를 비벼 먹는 것에서 시작하여 간짜장, 유니짜장, 삼선짜장, 쟁반짜장, 

고추짜장, 유슬짜장 등 다양한 메뉴가 개발되었다.

지역에 따라 짜장면에 계란 프라이나 오이채, 삶은 계란, 삶은 메추리알 등을 올려 주는 등 특색도 다양하다.

짜장면 인기에 힘입어 1970년대 후반부터는

식품 제조 업체에서 짜장라면을 출시하여 집에서 간편하게 끓여서 먹을 수 있게 되었다.

현재는 여러 업체에서 출시된 짜장라면이 서로 경쟁하고 있다.

또한 4월 14일을 ‘블랙데이’라 해서 밸런타인데이와 화이트데이에 선물을 받지 못한 사람들이

그 슬픔을 위로하기 위해 검은 옷을 입고 검은색의 짜장면을 먹는 날이라는 문화가 생기기도 하였다.

반응형

 

"4월14일 블랙데이"

밸런타인데이(214)화이트데이(314)에 선물을 받지 못한 사람들(4월14일)이

짜장면을 먹으면서 아쉬운 마음을 달랜다고 붙여진 블랙데이가 이날이다.

 

반응형

3. 짜장면이 생기게 된 이유

🔹 중국인 노동자들을 위한 음식
인천 차이나타운에서 중국인 노동자들이 쉽게 먹을 수 있는 저렴하고 간단한 음식을 원하면서 짜장면이 탄생했습니다.

🔹 한국인의 입맛에 맞춘 변형
중국의 자장몐은 된장 같은 짭짤한 맛이 강한데, 한국에서는 단맛을 추가해 대중적인 음식으로 발전했습니다.

🔹 외식 문화의 정착
과거에는 외식이 흔하지 않았지만, 짜장면은 비교적 저렴하고 배달이 가능해 인기가 많아졌습니다.

4. 짜장면의 맛과 컬러는 왜 검정색일까?

: 달콤하면서도 짭짤한 감칠맛이 강한 소스가 특징입니다.
색깔의 비밀

  • 짜장면의 검은색은 **춘장(炸酱, 자장)**에서 나옵니다.
  • 춘장은 콩으로 만든 된장을 발효한 후 카라멜 색소를 첨가해 짙은 검정색을 띱니다.
  • 볶으면 더욱 깊은 색이 나고, 고소한 풍미가 살아납니다.

반응형

5. 이사할 때 짜장면을 먹는 이유

이사나 졸업식 같은 특별한 날에 짜장면을 먹는 이유는? 

주로 전통, 실용성, 그리고 문화적 의미 때문입니다.

 

간편하고 빠른 식사

  • 이사하는 날에는 짐을 정리하느라 밥을 해 먹기 어렵습니다.
  • 짜장면은 배달이 가능하고 한 그릇으로 든든하게 먹을 수 있어 이사 음식으로 적절했습니다.

중국집 배달 문화

    • 과거에는 외식이 흔하지 않았고, 배달이 가능한 중국 음식점이 많았습니다.
    • 간편하게 시켜 먹을 수 있어 이사하는 날 대표적인 음식이 되었습니다. 

https://www.koya-culture.com/news/article.html?no=3433

 

“새로운 시작”의 의미

  • 이사는 새로운 보금자리에서 출발하는 날이므로, 간편하고 든든한 짜장면을 먹고 힘을 내자는 의미도 있습니다.

반응형

6. 졸업식에 짜장면을 먹는 이유

“이별의 음식”이라는 상징성

  • 졸업은 친구들과 헤어지는 순간이기 때문에, 검은 짜장면을 먹으며 "이별의 눈물"을 표현하는 문화가 생겼습니다.
  • 짜장면의 검은 소스가 마치 눈물을 상징하는 것처럼 여겨졌습니다.

https://www.koya-culture.com/news/article.html?no=3433

경제적인 이유

  • 졸업식 후 외식을 하기엔 비용이 부담될 수 있어,
  • 저렴하고 푸짐한 짜장면이 선택되었습니다.

단체 식사에 적합

  • 졸업 후 친구들과 마지막으로 함께 밥을 먹기 좋은 메뉴였고,
  • 대부분의 사람들이 좋아하는 음식이라 부담 없이 선택되었습니다.
반응형

▶ 이렇게 이사와 졸업식에 🍜 짜장면을 먹는 문화는 실용적인 이유에서 시작되어,

이제는 하나의 전통처럼 자리 잡은 특별한 음식 문화가 되었습니다. 😊

 

반응형

🍜 근대화가 시작된 이후부터 산업화 시대를 거친 100여년의 역사를 품고있는 🍜 짜장면은

우리 역사의 또다른 증인으로 중·장년층에는 향수를 불러일으키고  

한국인의 소울푸드로 자리 잡은 음식으로, 오랜 역사와 함께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