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 대전 현충원에 가다
본문 바로가기
여행 및 트래킹

국립 대전 현충원에 가다

by 내가 머니 2025. 2. 28.
반응형

 

부모님이 대전현충원에 계십니다.

아버지께서 6.25참전용사로 30년이상 군복무하시고 화랑무공훈장을 받으셔서

서울현충원은 묘지자리가 없어 납골당에 모셔야 해서..

대전은 묘지에 묘비가 세워져서..대전현충에 모시기로 했답니다.

좀 멀긴하지만...그래도 대전정도는 서울에서 2시간 거리여서...

문득 생각나면 한번 다녀오곤 합니다만, 겨우 1년에 한번 정도 가게됩니다

엇그제 다녀오면서 살아생전 좀 더 잘해드릴걸 하는 후회가 자꾸만 들더군요,

다들 잘하시겠지만 살아계실때 한번이라도 더 찾아뵙는게 효도일거 같습니다.

돌아가신 후 찾아뵈는게 무슨 의미가 있을 까 싶다가도

그래도 생각나고 보고프면 찾게 됩니다.

반응형

2025년 2월 26일 대전현충원 참배

국립 대전 현충원에 가다

대전광역시유성구현충원로251(갑동)에 있는국립현충원이다.

1955년에 개장했던국립서울현충원의 묘역 포화[1]와 영현 안장 한계 등으로 인하여1985년에 개장하였다.

관할 기관은국방부가 아닌국가보훈부.공주로 가는 길에 있으며 조금만 더 가면계룡산이 나온다.
넓이는 3.22km²로 모나코보다 넓다.

국림대전현충원

여행삼아 한번 다녀오시는것도 추천드립니다.

엄청나게 규모가 커서 산책로, 연못, 정자 등

 

반응형

대전현충원 역사

본래 충청남도 대덕군 유성읍[5] 갑동리에 속했던 곳이었으나 1989년 1월 대전시가 직할시(광역시)로 승격되고 충청남도에서 분리되면서 대전광역시 유성구 관할로 편입되었다. 유성읍 자체는 1983년에 대전시에 편입되었으며, 당시엔 중구에 속했고, 뒤에 서구가 되었다가 대전이 직할시가 될 때 구 유성읍과 인근 지역을 합쳐서 유성구가 생겼다. 참고로 옛 충청남도 대덕군의 동북부는 지금의 대전광역시 대덕구로 편입되었다.

풍문에 따르면 풍수지리적으로 계룡산 전체가 좌청룡 우백호 삼아 최고의 명당인데, 당시 전두환 정부가 자리를 잡으면서 전국의 지관들을 다 모아서 자문을 구했다는 말이 있다.

최초 안장은 1982년 8월 27일 이춘원 육군하사[6]를 시작으로 100위를 안장하면서 현충원 안장이 시작되었다.

1996년 국립묘지가 현충원으로 개칭되면서 대전국립묘지에서 국립대전현충원으로 개칭되었다.구

https://namu.wiki/국립대전현충원

반응형

서울현충원과 대전 현충원의 차이

대전 현충원과 서울 현충원은 모두 국립현충원이지만, 소관 부처가 다르고, 규모와 안장된 인물이 다릅니다.
대전현충원과 서울현충원은 모두 대한민국의 주요 국립묘지로,
국가를 위해 헌신한 분들을 기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두 묘지의 위치, 역사, 규모 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대전 현충원서울 현충원
소관 부처
국가보훈처
국방부
규모
약 322만㎡(97만 4천평)
약 144만㎡(약 44만 평)
안장된 인물
천안함 46용사, 연평해전 영웅, 나운규 감독, 손기정 선수 등
이승만, 박정희, 육영수, 이범석, 곽상훈 등
대전 현충원은 한국의 전통미와 현대감각을 조화시킨 국내 최대규모의 공원묘지입니다. 
서울 현충원은 넓은 부지를 걷는 것이 힘든 유가족과 참배객들의 편의를 위해 셔틀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현충원 안장 기준은 무엇인가요?

 
현행법은 국가수호 임무를 수행하는 군인에 대한 예우를 위해 조성되었습니다.
20년 이상 군에 복무하고 전역 후 사망한 군인은 현충원,
10년 이상 군에 복무하고 전역 후 사망한 군인은 호국원에 안장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1. 위치:
      • 대전현충원: 대전광역시에 위치해 있습니다. 주로 중부지역을 대표하는 국립묘지로, 대전의 유성구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 서울현충원: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위치해 있습니다. 서울에서 가장 가까운 국립묘지로, 수도권을 대표하는 의미가 있습니다.
    2. 역사:
      • 대전현충원: 1955년에 개원하였으며, 주로 한국전쟁 및 그 이후의 전사자들이 안장되어 있습니다.
      • 서울현충원: 1969년에 개원하였으며, 주로 국가를 위해 헌신한 군인과 공무원, 정치인 등이 안장되어 있습니다.
반응형
  1. 규모:
    • 대전현충원: 면적이 더 넓고, 안장된 묘비 수도 많습니다. 전국적인 군인과 전사자들이 많이 묻혀 있는 장소로, 다양한 기념시설이 갖추어져 있습니다.
    • 서울현충원: 면적은 대전현충원보다는 적지만, 서울에서 가장 중요한 국립묘지로서 상징적인 의미가 강합니다. 여러 정부기관과의 접근성도 뛰어납니다.
  2. 주요 안장 대상:
    • 대전현충원: 주로 전사자 및 군 관련 인물들이 주를 이루며, 한국전쟁과 관련된 인물들이 많이 안장되어 있습니다.
    • 서울현충원: 군인뿐만 아니라 정치인, 공무원, 독립운동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헌신한 인물들이 안장되어 있습니다.

두 묘지는 각각의 지역적 특성과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있어, 지역민들에게는 다른 의미를 갖습니다.

 

반응형

서울현충원 크기?

 
서울현충원의 크기는 무려 144만㎡(약 44만 평 규모)에 달하는데,
넓은 부지를 걷는 것이 힘든 유가족과 참배객들의 편의를 위해 국립서울현충원에서는
2023년 3월부터 현충원 주요 묘역(소)과 충혼당을 순환하는 셔틀버스를 운영하고 있다.

 

반응형

대전현충원의 크기는 ?

 
 
국방부는 1976년 5월 11일 지방 국립묘지 설치준비위원회를 구성하고
1979년 4월 1일부터 공사를 본격 착수하여
1985년 11월 13일 전체 면적 약 322만㎡(97만 4천평)의 현 국립대전현충원을 준공하게 되었다.
 

 

반응형

국립서울현충원

https://www.mpva.go.kr/snmb/contents.do?key=1837

반응형

대전 현충원 둘레길

 

대전 현충원 둘레길은 대전 현충원을 둘러싸고 있는 산책로로,

자연 속에서 산책을 즐기며 평화로운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곳입니다.

 

이 길은 대전광역시 대덕구에 위치해 있으며,

주요 특징은 자연경관과 함께 현충원의 역사적인 의미도 느낄 수 있다는 점입니다.

둘레길은 약 4.5km 정도의 길이로, 숲속을 걸으면서 자연과 함께 힐링할 수 있는 공간으로 인기입니다.

길이 비교적 평탄하여 접근성이 좋고, 산책하면서 조용한 분위기 속에서 자연을 즐기기 좋습니다.

 

반응형

또한, 이곳은 대전의 주요 명소인 현충원과 가까워 역사적인 의미를 더할 수 있는 곳이라,

걷기 좋은 코스로 추천됩니다.

 

중간중간 쉼터도 마련되어 있어 여유로운 산책이 가능합니다.

연못, 쉴수 있는 정자

반응형

주변에는 대전시내와 가까워 대중교통 이용도 편리하며,

자가용으로 방문할 경우 주차 공간도 충분히 확보되어 있습니다.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