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42 Page)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73

3D 프린팅 프로세스 3D 프린팅 제작 프로세스 ㅣ 3D Modeling, 3D Printing, 마무리(finishing) 단계인 후처리(post processing) 과정 ㅣ3D 모델링은 CAD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직접 모델링,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다운로드 그리고 3D 스캐닝으로 나눈다. ㅣ3D 프린팅을 모델링으로 생성된 3D 표준 포맷 파일인 STL 파일을 슬라이싱 소프트웨어 를 이용해서 레이어로 나누고 G코드 형식의 파일로 변환한다. ㅣ슬라이싱 : 3D 모델을 3D 프린터용 명령을 변환하는 프로세스다. ㅣ슬라이싱 과정을 통해 3D 프린터가 인식하는 G코드 형식의 파일이 생성, ㅣG코드 형식 파일을 입력받은 3D 프린터는 코드 상의 명령어 순서대로 동작을 진행한다. 출처 http://www.3dngin.com ㅣ 3D.. 2020. 6. 25.
3D프린팅의 방식과 소재(8) 3.3 고에너지 직접 조사(Direct Energy Deposition, DED) ▶베드형 분말 공급 방식을 개선하여 헤드에서 직접 분말과 에너지원을 공급하고 산화 차단 가스노즐을 같이 채용한 방식 ▶고에너지원(레이저나 전자 빔 등)을 이용하여 재료를 직접 증착 또는 녹여 부착시켜 물체를 형성한다. 이미지 출처 : 3dprint.com www.youtube.com/watch?v=mkUVURLkxS4&feature=youtu.be - 고출력 에너지원(레이져, 전자 빔)으로 원소재를 녹인 후 금속 분말을 분사해 용융하는 방식 - 산업용 금속 분말 사용 가능하며 이종 소재, 합금 소재 등 다 물성 고기능성 소재 활용 가능 - 특정 위치에 레이져를 조사하여 금속 분말을 용융시키며 기존 제품의 보수 및 클래딩 작.. 2020. 6. 24.
3D프린팅의 방식과 소재(7) 3.2.2 전자 빔 용융(Electron Beam Melting, EBM)아캠 사에 의해 개발, 원천 특허도 소유금속 분말의 얇은 층을 전자빔을 이용해 선택적으로 용융하는 것이다.선택적 레이저 용융방식과 유사하지만 레이저와 달리 전자빔을 사용한다.이미지 출처 : www.amkorea21.com/sub3_1.php ◐ 전자 빔 용융 방식의 특징- 티타늄 합금 파우더를 전자 빔으로 용해하여 제작하는 방식.- 재료의 강도가 아주 우수하다.- 전자 빔을 이용해 고밀도의 표준 금속들과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가진 - 표준 금속 부품들을 제조할 수 있다.- 레이저 사용 방식에 비해 지지 구조체와 열 응력이 적은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 맞춤식, 기능성 테스트 시제품 제작, 지그, 기계 기구 등의 지원 부품은 직접.. 2020. 6. 24.
3D 프린팅의 방식과 소재(6) 3.2 분말 적층 용융 방식(Power Bed Fusion, PBF) 분말 재료 위에 고에너지 빔(레이저나 전자 빔 등)을 조사해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기술. 1) 분말 적층 용융 방식의 원리 - SLS(Selective Laser Sintering, 선택적 레이저 소결) 방식이라 널리 알려진 방식으로 정식 명칭은 분말 적층 용융 방식이다. - BJ 방식과 같이 분말을 블레이드와 롤러 등을 이용하여 분말 베드에 얇고 편평하게 깐다. - 얇게 깔린 분말에 레이저를 선택적으로 조사하여 수평면 상에서 원하는 턴을 만든다. - 다시 이 위에 분말을 얇게 깔고 평탄화를 하여 이 분말에 다시 레이저를 선택적으로 조사하는 방식이다. - 레이저 이외에 전자 빔 등의 에너지 원을 사용할 수도 있다. - PBF 방식의 경.. 2020. 6. 23.
3D프린팅의 방식과 소재(5) 3. 분말 기반 방식 ▶분말 상태의 재료인 석고 분말에 접착제를 분사하여 굳히거나 또는 금속과 플라스틱, 모래 등의 분말 표면을 레이저 빔으로 소결 시켜 3차원의 물체를 제작하는 기술이다. 3.1 접착제 분사 방식(Binder Jetting, BJ) ▶접착제 분사 방식은 블레이드와 롤러 등을 이용하여 파우더 베드에 분말을 편평하게 깔고 그 위에 잉크젯 헤드로 접착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하는 것이다. ▶분말을 깔고 접착제를 패턴에 맞게 뿌리면서 수직 방향으로 적층을 한다. ▶베드에 분말을 얇고 편평하게 적층하는 방식 + ▶잉크젯으로 접착제를 분사하는방식 = 접착제 분사 방식(분말이 지지대 역할을 하게 된다.) ▶특징 : 소재가 분말 형태로 공급 → 플라스틱, 세라믹, 금속 분말 등이 가능 ▶정교한 인쇄물을 만.. 2020. 6. 21.
3D프린팅의 방식과 소재(4) 1. CLIP: Continuous Liquid Interface Production ▶ CLIP이란? - 지금까지 해왔던 쌓아 올리던 방식이 아닌, 빛과 산소를 이용해 계속 자라게 하는 방식이다. - 빛은 레진을 고체로 만드는 데 사용되고(액체→고체)(액체→고체 - 산소는 그 과정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 이 과정을 CLIP (Continuous Liquid Interface Production)이라 부른다. - 산소 투과 창 이용 - 산소와 자외선 투과 조절 - 데드존(Dead Zone), 0.03mm - 빠른 출력 시간, 우수한 정밀도 https://youtu.be/t-TDuBBvZ6 U) - CLIP의 형태는 레진 액체가 담긴 수조 형태이다. - CLIP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용기 바닥의 창.. 2020. 6. 20.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